화폐와 사람 이야기

왜 나는 화폐와 경제구조를 공부하려고 하는가

Gracehaus 2025. 7. 19. 23:24

 

 

화폐를 알면 세상이 다르게 보인다는 문구가 있는 비트코인 동전그림
두가지 다른 색상의 바탕위 비트코인 동전 사진

 

부동산 일을 하면서 사람들과 돈 이야기를 참 많이 나누게 됩니다.
그런데 문득 이런 생각이 들었습니다.
"우리가 매일 이야기하는 '돈'이란, 과연 무엇일까?"
그리고 "경제라는 건 내가 왜 알아야 하는 걸까?"

돈을 다루는 일을 하면서, 돈의 본질에 대해선 의외로 잘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

그렇게 저에게 또 하나의 질문이 시작되었습니다.

그래서 저는 이제 화폐와 경제구조에 대해 조금씩 공부해보려고 합니다. 


화폐란 무엇일까?

우리는 돈을 너무 당연하게 여기며 살아갑니다.
하지만 돈이란 결국 **'신뢰를 기반으로 한 약속'**이라는 말을 들었을 때, 저는 꽤 놀랐습니다.
하나의 국가가, 사회가, 사람들이 그 돈을 '믿는다'라고 여길 때 돈은 가치가 생긴다고 합니다.

종이 한 장이 돈이 되는 것도, 스마트폰 속 숫자가 자산이 되는 것도 결국 사람들의 신뢰 때문이라는 사실.
그 단순한 진실을 알게 된 순간, 저는 이런 질문이 떠올랐습니다.
"우리가 믿는 이 화폐는 정말 끝까지 안전할까?"


화폐의 신용과 가치의 변화

한 나라가 경제 위기를 겪으면, 그 나라의 화폐는 갑자기 가치를 잃습니다.
역사 속에서 그런 사례는 어렵지 않게 찾을 수 있습니다.
달러, 원화, 비트코인까지… 결국 모든 화폐는 그 사회가 부여한 신뢰의 무게만큼 가치를 가지는 것입니다.

그렇다면 지금 당연하게 여기는 **‘원화’와 ‘달러’**도 절대적인 건 아닐지 모릅니다.
돈이란 결국 변화하는 가치를 가진 ‘사회적 약속’이라는 점이 새삼 두렵고도 궁금해졌습니다.


화폐로 표시되는 자산의 진짜 가치

부동산이든 주식이든, 우리는 자산을 모두 화폐로 평가합니다.
억 단위, 조 단위 숫자가 붙으면 큰 자산이라 생각합니다.
그런데 그 숫자는 모두 화폐로 표시된 가치일 뿐이라는 사실.
화폐 가치가 변하면 그 자산의 가치도 달라질 수 있다는 점을 생각해 본 적이 있을까요?

저는 이제 자산을 ‘화폐 기준’ 밖에서 바라보는 눈을 가져야겠다고 생각합니다.


근로소득과 자산소득의 차이

일을 해서 버는 돈, 즉 근로소득과
자산에서 버는 돈, 즉 자산소득은
그 가치와 속성이 전혀 다릅니다.

하지만 둘 다 '화폐'로 표시되기에 우리는 쉽게 그 차이를 잊습니다.
노동으로 버는 돈이 점점 불리해지고, 자산을 가진 사람이 점점 유리해지는 세상에서,
저는 그 이유와 구조를 이해하고 싶어 졌습니다.

 

이건 단지 투자 전략이 아니라,
내 삶을 어떻게 꾸려갈지에 대한 문제이기 때문입니다.


경제구조는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?

경제구조는 앞으로 어떻게 변할까?
화폐의 본질, 자산의 가치, 소득의 구조…
이 모든 걸 결정짓는 건 결국 경제구조입니다.
디지털화폐와 인공지능, 글로벌 금융 시스템의 변화 속에서 세상은 빠르게 재편되고 있습니다.

지금의 경제구조가 어떻게 무너지고, 또 어떻게 새로 만들어질지,
그 변화를 이해하지 못하면 내 일과 자산, 그리고 내 삶의 안전도 지킬 수 없다는 걸 깨달았습니다.

 

그래서 저는 화폐와 경제구조를 공부하려 합니다

내가 살아가는 세상과 내 선택을 조금 더 잘 이해하고 싶어서입니다.
그리고 언젠가 나와 비슷한 질문을 가진 누군가에게
이 글들이 작은 길잡이가 되어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.

 


Grace Haus 인문 경제 노트.
이곳에서 그 이야기를 천천히 써 내려가 보려 합니다.